NHK, 日학자 주장 인용 보도
“화엄경서 한자축약 각필 발견”
일본어 문자의 하나인 ‘가타카나(片假名)’가 신라에서 전래됐다는 점을 입증할 실증자료가 발견됐다. 가타카나는 외래어나 의성어 표기에 주로 사용되는 소리글자로 한자의 자획을 축약해 만들어진 것이다.
2일 NHK방송에 따르면 히로시마대 고바야시 요시노리(小林芳規) 명예교수와 한국 연구진은 740년경 통일신라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불경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에서 가타카나의 기원으로 보이는 문자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일본의 국가중요문화재로 지정된 이 불경은 나라(奈良) 시 도다이(東大)사가 소장하고 있다.
연구팀이 불경 일부를 조사한 결과 먹으로 쓰인 한자 옆에 나무나 상아 등 단단하고 뾰족한 물체로 종이를 눌러 작은 글자 자국을 새긴 곳이 360군데 발견됐다. 이른바 ‘각필(角筆)문자’로 촛불이나 햇살에 비스듬히 비추면 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한국 중국 일본 티베트 등에서 사용된 각필문자는 눌린 흔적만 있고 색깔이 없어 오랫동안 발견되지 않았다가 1961년 일본에서 처음 발견됐다. 고바야시 교수는 이 분야 연구의 선구자 중 한 명이다.이번에 발견된 각필문자는 대부분 가타카나의 조성 원리와 똑같이 한자를 축약한 형태였다. 예컨대 왕(王)이라는 한자 옆에는 이(伊)에서 인(人)변을 떼어낸 윤(尹)이 새겨져 있었다. ‘왕이∼했다’는 의미를 전달할 때 주격조사인 ‘이’를 한자 축약으로 표기한 것이다. 고바야시 교수는 “이들 각필문자는 신라어로 한문을 읽어내기 위해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한자를 축약해 발음을 표시하기 위해 만든 가타카나의 기원이 한반도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그동안 가타카나가 헤이안(平安·794∼1192)시대에 일본에서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주류였다. 고바야시 교수는 2000년부터 가타카나의 신라 유래설을 주장해왔으나 실증자료가 많지 않았다.
고바야시 교수와 함께 연구를 진행한 동국대 김성주 교수는 “이번에 발견된 각필문자는 고려시대에 확립된 구결(口訣·한문 해석이나 독송을 위해 각 구절 아래에 달았던 문자)의 초기 형태”라며 “신라시대의 구결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9세기부터 기록이 남아있는 가타카나의 기원이라는 점을 실질적으로 입증하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동아일보 2013.09.03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운길산 중턱에 자리한 수종사(水鐘寺) 경내 팔각오층석탑이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이 석탑이 고려시대 팔각석탑의 전통을 이어받은 조선 초기 탑으로, 역사·학술적 가치가 커 보물 제1808호로 지정한다고 2일 밝혔다.
석탑은 조선 왕실에서 발원해 지은 것으로 이곳에서 수습한 사리장엄과 명문을 볼 때 늦어도 1493년쯤 건립돼 1628년 무렵 고쳐진 것으로 추정된다. 기단부는 불상대좌(臺座), 탑신부는 목조건축 양식을 각각 하고 있다. 또 상륜부는 팔작(八作) 기와 지붕 형태다. 석탑이 위치한 수종사는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 말사로 조선 세조 5년(1459) 창건된 것으로 전해진다.
- 서울신문 2013.09.03
국립춘천박물관(관장:최선주)이 도내 박물관 및 미술관의 소장품에 대한 항구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해 보존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국립춘천박물관은 오는 5일까지 수요조사와 함께 접수를 실시하고, 25일부터 종이, 섬유, 목재 문화재를 대상으로 하는 `훈증처리 지원'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참여를 희망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은 국립춘천박물관 홈페이지(chuncheon.museum.go.kr) 서식을 이용해 문화재의 목록과 사진을 작성해 접수하면 된다.
접수된 문화재는 전문가의 상태 진단을 거쳐 훈증처리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편 국립춘천박물관은 지난 2002년부터 연차적으로 원주역사박물관, 한림대박물관 등 도내 30여개 기관 1,500여점의 문화재에 대한 훈증처리에 도움을 주고 있다. 문의 (033)260-1535·1553.
- 강원일보 2013.09.02
선사시대에 만들어져 ‘한국 미술사의 첫 장’이라 불리는 국보 285호 반구대 암각화에 대한 사상 첫 발굴 조사가 시작된다. 문화재청은 30일 울산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 전망대에서 여는 개토제(開土祭)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암각화 주변 발굴 조사를 시작한다. 개토제는 천지신명과 지역 주민에게 발굴 조사의 시작을 알리는 행사다. 발굴 조사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이 수행하며, 9~12월에 걸쳐 반구대 암각화 전면 5000㎡를 조사한다.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암각화가 땅속에서 나올 수도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 조선일보 2013.08.30
화가 이중섭(1916∼1956)의 그림 ‘너를 숨쉬고’(사진)가 일반에 처음 공개된다.
미술품 경매사 K옥션은 다음 달 11일 오후 5시 서울 강남구 신사동 K옥션 경매장에서 이 그림을 비롯한 근현대작품, 고미술품 등 213점을 경매한다고 29일 밝혔다. 1950년대 제작된 ‘너를 숨쉬고’는 이중섭의 그림과 시인 김용호(1912∼1973)의 시로 구성됐다. 김용호의 장남이 소장한 작품으로, 경매 추정가는 8000만∼1억5000만원이다.
운보 김기창(1913∼2001)의 ‘아악의 리듬’도 경매에 출품됐다. 8세 때 청각을 잃은 그가 1967년 아악의 소리를 상상해 그린 작품이다. 추정가는 5000만∼8000만원. 김환기 백남준 이우환 김창열 천경자 오치균 등 국내 주요 작가의 작품과 독일 화가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원화 등도 경매에 나온다.
- 국민일보 2013.08.30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