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성대(총장 장동일)는 최근 제품디자인학과 4학년생 김종국씨가 ‘45°(Twist)’라는 작품으로 ‘제7회 경기도 공공디자인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한겨레신문 2013.09.26
홍유진 동덕여대 교수는 최근 예술치료 학문연구와 전공자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발족한 한국예술치료교수협의회의 초대 회장으로 선임됐다.
- 한겨레신문 2013.09.26
유홍준(64·사진)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의 인터뷰 기사가 일본 아사히(朝日)신문 24일자 종합 2면에 실렸다. 유 교수가 최근 펴낸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일본편 1, 2』에 주목한 기사는 “일본 사적(史跡) 기행 책이 한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됐다”며 “일본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신작을 서평란이 아닌 가독률 높은 2면의 ‘사람’란에 실은 건 이례적이다.
유 교수는 ‘규슈(九州)’와 ‘아스카(飛鳥)·나라(奈良)’ 편에 객관적인 양국 이해를 위한 제안을 담았다. ‘일본을 욕하기 전에 일본을 아는 것이 먼저다’ ‘고구려·백제·신라 3국 시대라 하지만 그보단 가야와 일본 왜(倭)를 포함한 5국 시대가 맞다’ 등 한국과 일본의 근접함을 인정하되 독자적 개성을 고려하고 봐야 동아시아 문화의 총량도 커지는 법이라는 그의 의견을 아사히는 높이 샀다.
- 중앙일보 2013.09.26
조선 후기 목조건축물을 대표하는 전남 여수 진남관(鎭南館·사진)이 전면 해체 보수에 들어간다.
문화재청은 2001년 4월 17일 국보 304호로 지정한 진남관이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사 결과 건물 뒤틀림이 심하고 구조적인 불안정으로 훼손이 우려돼 전면 해체 보수를 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를 위해 24일 오전 11시 진남관 현장에서 자문위원단 1차 회의를 연다.
2016년까지 진행되는 해체 보수에는 총예산 150억원이 투입된다. 올해 보수정비 설계도서를 작성하고 내년부터 건물을 해체하기 시작해 썩은 목재는 선별 교체하고 변형된 내부 마루와 없어진 창호, 퇴락한 단청을 복원한다. 숭례문 복구에 활용한 전통기와와 전통안료를 사용하기로 했다.
진남관은 1599년 통제사 겸 전라좌수사 이시언이 정유재란으로 불탄 진해루 터에 객사로 지은 건물로, ‘남쪽을 진무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팔작 기와지붕에 겹처마 건물로, 규모는 75칸(정면 15칸, 측면 5칸)에 240평이다. 평면 면적이 200평 정도인 경복궁 근정전보다 크다. 1644년 절도사 이도빈이 개축했지만 1716년 소실되고 2년 후 전라좌수사 이제면이 중건했다. 이번 전면 해체 보수는 거의 300년 만에 이뤄지는 셈이다.
- 국민일보 2013.09.24
한국 추상회화 1세대 작가인 김훈 화백이 22일 오전 11시30분 서울 자택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89세.
고인은 1924년 중국에서 태어나 일본 도쿄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했다. 김 화백은 박수근, 김환기, 장욱진 등 우리 미술계에 큰 획을 그은 작가들과 같은 시기에 활동하며 1949년 미국 공보관 초청으로 개인전을 열었다. 그는 1954년 한국 현대미술 발전의 원동력이 됐던 ‘현대작가초대전’을 주도했고 1960년대 후반에는 김상유, 윤명로 등과 ‘한국현대판화가협회’를 결성해 판화 발전에도 기여했다.
1958년 김환기, 박수근 등과 함께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뉴욕 월드하우스 갤러리에 초대됐고, 1960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미국에 체류하며 왕성한 작품활동을 펼쳤다. 1980년대에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에서 활동하면서 1993년 살롱 도톤상을 받기도 했다. 지병을 앓던 그는 고국에서 여생을 보내겠다며 2002년 부인과 함께 영구 귀국했고 같은 해 예술원 우수작가에 선정됐다.
유족으로는 부인 이령면씨와 아들 동연(재불 디자이너), 딸 경미(재불 방송인)씨가 있다. 빈소는 미아동 서울베스트병원 장례식장이며 발인은 24일 오전 6시, 장지는 경기 파주시 오산리 기도원이다. (02)984-2007
- 경향신문 2013.09.23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