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5

돌에 새긴 절제의 미학…조각가 유영교 2주기 추모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조각가 유영교씨(1946~2006년)의 2주기 추모전이 13일부터 7월6일까지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린다.
유씨는 2006년 5월 경기도 청평에서 조각 작품을 설치하다 쓰러져 한 달 만에 타계할 때까지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추구했다.
2005년 청계천 복원 기념으로 물길을 따라 설치한 그의 작품 '에어 조이'는 물 위에서 움직이는 빨간 고추잠자리를 표현해 시민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번 추모전에는 '부부''가족''여인입상'(사진)'구도자' 등 절제된 단순미와 따뜻하고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구상 조각,철로 움직이는 조각 '키네틱 아트',자연석과 물을 활용한 자연친화적 조각 '샘' 등 50여점이 출품된다.
또 사진 작가 배병우씨가 찍은 고인의 작업 사진과 공구 등을 모아 생전의 작업장을 재현한다.
유씨의 작품 세계를 살펴보고 한국 조형예술의 흐름도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리.작품 사진과 평론가들의 글로 꾸며진 화집도 발간됐다.
(02)720-1020

- 한국경제 2008.6.13

언론 보도 안된 인물 동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6월에 창간하는 < Auction & Collector> 편집장에 가나아트 기자, 신라대 겸임교수를 지냈던 김민성 씨가 일을 맡았다.
아라리오갤러리에서 20년 근무했던 유근덕실장이 사직하고 미술계 일을 시작한다.
몽인아트센터에 근무했던 양찬제 씨가 갤러리현대 기획팀 실장을 맡았다.

태영건설, 국립해양박물관 짓는다…부산 2012년 완공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태영건설이 대표로 참여하는 `해양문화주식회사 컨소시엄`이 국립해양박물관 사업자로 선정됐다.

국토해양부는 부산시 영도구 동삼동 혁신도시에 들어설 국립해양박물관 사업자로 해양문화(주)를 선정했으며 2012년 6월께 준공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립해양박물관은 4만5300㎡(1만4000평) 대지에 연면적 2만3140㎡(7000평) 규모로 지어진다. 건물은 상설 전시공간(4300㎡) 4D영상관(200㎡) 기획전시실(700㎡) 어린이박물관(570㎡) 해양도서관(1400㎡) 학예연구실(600㎡) 수장고(3160㎡) 등으로 구성된다.

해양박물관 공사비는 1072억원이며 내년 상반기 실시설계 승인이 이뤄진 후 내년 7월께 착공된다. 해양문화는 임대형(BTL) 민간투자 사업으로 박물관을 건설한다.

- 매일경제 2008.06.12

예능인 위한 다양한 복지정책 나와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3일 전국예능인노동조합연맹 개소식
전국예능인노동조합연맹(위원장 김원배ㆍ사진)이 6기 위원장 출범을 앞두고 13일 오후4시 서울 여의도 아자프라자 305호에서 사무실 개소식을 연다.
지난 1999년 설립된 전국예능인노동조합연맹은 가수ㆍ연주ㆍ국악ㆍ무용 분야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인노동조합ㆍ광고인노동조합ㆍ연기자노동조합ㆍ마술예능인노동조합ㆍ곡예예능인노동조합ㆍ주한외국연예인노동조합ㆍ패션디자이너노동조합ㆍ보조출연자노동조합 등으로 이뤄졌다. 김 위원장은 4월30일 전국예능인노동조합연맹 대의원 총회에서 6대 위원장으로 선출됐다.

김 위원장은 “한류열풍으로 예능인의 지위가 높아졌지만 톱스타와 무명 예능인의 격차는 커지고 있다”며 “예능인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복지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역설했다. (02)2166-6030

- 서울경제 2008.06.12


김예순 선생 개인전 11일부터 열린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7일까지 인사동 서울화랑서

경북도미술대전 초대 작가이자 심사위원이며 퇴직 후 전업작가로 더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김예순(사진) 선생의 8회째 개인전이 11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인사동 서울화랑에서 열린다. 고향 주변의 풍경을 주된 소재로 삼아 예술세계를 창조하는 작가는 색채원근법을 이용, 대상의 강렬하고 인상적인 장면을 포착해냈다. 70% 정도는 나이프 작업으로 당시에 느껴지는 인상을 담아내는 김 선생은 그동안 40년간 교직생활을 하며 미술부를 지도해 전국적 성과를 내는 등 인재양성에도 힘써왔다. 지난해 9월 작품에 더욱 열정을 쏟기 위해 퇴직, 시내에 작업실을 내고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이번 회갑전에는 서울화랑과 함께 청담동 지구촌갤러리에서도 함께 전시를 연다. 한소라 서울화랑 대표는 “김 선생은 다작보다 심도 깊은 작품 완성을 위해 매일 6~7시간씩 작업에 몰두하면서도 석 달에 세 점 정도만 그림을 그린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화랑에서는 전시주간인 오는 14일 피아니스트 윤강욱씨의 작은음악회를 마련해 미술과 음악이 함께하는 운치 있는 행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02)722-5483

- 서울경제 2008.06.1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