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5

김구림 개인전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구림 개인전 3~21일 김재선갤러리. ‘음양 시리즈’ 중 소개되지 않았던 신작들과 최근 몇 년간의 드로잉 소품이 전시된다. 음양시리즈는 사실과 추상, 자연과 문명, 있음과 없음, 실제와 허상, 실제와 이미지 등 대립되는 요소들이 강하게 마찰하면서도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여 새롭게 통일된 제3의 이미지다. (02)3445-5438.

●독일의 ‘디갤러리’ 한국지점 개관전 4월 3일까지. 디 갤러리는 1979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출발한 독일의 대표적 화랑. 이탈리아,미국,스페인에 이어 한국에 화랑을 열었다. 개관전으로 게르하르트 리히터,게오르그 바젤리츠,베르너 뷔트너,A.R.팽크 등 독일 현대 미술 거장들의 회화 및 조각 작품 30여 점이 전시된다.(02)3447-0049.

- 서울신문 2009.3.2

[브리핑] 디자인플라자, 무장애 건물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동대문 디자인플라자&파크에 장애인·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무장애 통로와 장애인 지원봉사센터를 설치한다고 1일 밝혔다. 2011년 완공되면 시각장애인은 건물 바닥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의 불빛을 보고 걸어갈 수 있게 된다. 동대문 디자인플라자&파크의 설계안은 지난해 말 국토해양부·보건복지가족부가 주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1등급 예비인증’을 받았다.

- 중앙일보 2009.3.2

[인사]덕성여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덕성여대 예술대 학장에 이원복씨 임명

- 경향일보 2009.02.28

새로나온 책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의 예술 지원사(박남수·류주희·송지원·우인수·조규희·박홍갑 지음)=조선시대 음악과 회화, 공예에 대한 정책과 지원의 역사를 담은 책. 미메시스, 1만5000원.

중앙일보 2009.2.28

폴 헉슬리 전 영국 왕립아카데미 교수 첫 개인전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영국 추상미술의 계보를 잇는 폴 헉슬리(71) 전 영국 왕립아카데미(RCA) 교수가 국내 첫 개인전을 서울 논현동 워터게이트 갤러리에서 연다. 3월 6일부터 4월 7일까지. 그는 2004년 중국을 방문해 한자를 모티브로 한 ‘중국 시리즈’ 작업을 하기도 했다. 지난 10년간의 작업 세계를 보여주는 15점을 뽑아 전시한다. 02-540-3213.


◆서울 신림동 서울대미술관이 5월 24일까지 ‘체코현대미술전’을 마련했다. 체코의 철학자 겸 미술비평가 인드르지흐 할루페츠키의 이름을 따 만 35세 이하 젊은 작가를 지원하는 상으로 제정된 ‘할루페츠키 상’의 2000∼2008년 수상작으로 꾸렸다. 02-880-9513.


◆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에서 3월 2일부터 29일까지 일본 미술전을 개최한다. 한국전통문화학교와 일본의 도호쿠예술공과대학 공동 개최로, 도호쿠대 반바 미츠오, 타니 요시노리 교수 등과 졸업생의 작품 36점이 나온다. 041-830-7120.

◆ 서울 신사동 아틀리에 에르메스에서는 3월 1일까지 벨기에 설치미술가 로랑스 데르보(47) 개인전을 연다. 유리·도자기 등 아름답지만 부서지기 쉬운 소재에 체액을 닮은 흰색·노랑·빨강의 액체를 담았다. 생명의 불안함과 아름다움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02-544-7722.

◆일본 ‘네오팝’의 대표 주자 가와시마 히데아키(川島秀明·40)의 ‘방황’전이 3월 29일까지 서울 소격동 국제갤러리에서 열린다. 가와시마는 커다란 눈매의 여인을 만화 느낌의 초상화로 그려 인기를 모은 작가다. 일본 팝 아트의 거장 나라 요시토모와 무라카미 다카시가 각각 기획한 그룹전을 통해 급부상, 일본 안팎으로 이름을 알렸다. 02-515-9496.

◆서울 삼성동 인터알리아 아트스페이스에서는 ‘에디션:진화하는 장르’전을 연다. 3월 3일부터 4월 2일까지. 데미언 허스트·앤디 워홀·톰 웨셀만 등 현대미술 대표 작가들의 판화 100여점을 전시·판매한다. 02-3479-0164.

2009.2.28 중앙일보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