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5

국립현대미술관 지역 미술관 협력망 구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현대미술관은 전국의 미술관들과 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대표 미술관장 회의를 최근 구성, 오는 6일 첫 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4일 밝혔다.

이 회의에는 국립현대미술관과 함께 각 시도의 지역대표 미술관으로 선정된 부산시립미술관, 제주도립미술관 등 15곳의 미술관이 참여하며 앞으로 큐레이터 교육, 순회전시 등 국립현대미술관이 주도하는 미술관 협력망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에 중추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국립현대미술관 관계자는 "서울은 지역대표 미술관으로 서울시립미술관 대신에 사비나미술관이 참여하지만 미술관 협력망 사업의 목표가 전국 공사립 미술관의 실질적인 협력을 통한 예술발전 기여에 있는 만큼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09.4.4

[책꽂이] 꿈속에서도 걷고 싶은 길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꿈속에서도 걷고 싶은 길(신정일)=사단법인 '우리땅 걷기' 이사장으로 활동하며 문화유산 답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저자가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40가지 길을 안내한다. 도보코스에서 꼭 봐야 할 명소와 소요시간, 교통편과 점심 먹기 좋은 곳 등 실용 정보를 담았다(랜덤하우스코리아·1만5000원).

△효재처럼 살아요(이효재)=살림솜씨로 유명한 한복디자이너 겸 보자기 아티스트인 저자가 내면의 속 깊은 이야기를 털어놓은 에세이. 어린 시절 이야기부터 인형에 대한 남다른 애정, 살림에 대한 자신만의 창의적 관점, 보자기 아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 등을 들려준다(문학동네·1만2800원).

- 국민일보 2009.4.4

‘현대미술 해외 홍보’ 손잡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배순훈 국립현대미술관장(사진·左)과 임성준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右)은 3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우리나라 현대미술을 효율적으로 해외에 알리기 위한 업무 약정을 맺었다.

- 중앙일보 2009.4.4

[300자책읽기] 중국·한국미술사 김홍남 지음/학고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논문 등 25편… 韓·中 미술사 집대성

국립민속박물관장과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내고 지난해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로 복귀한 저자의 논문집이다. 미국 예일대에서 중국미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저자가 그동안 영어로 발표한 대표적인 논문들을 번역해 싣고 국내 학술지 및 단행본 등에 발표한 논문 등 총 25편을 추렸다.
656쪽에 달하는 논문집은 크게 저자의 전공인 중국미술 연구와 고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한국 회화사 연구, ‘일월오봉병’ 같은 궁중회화와 의궤도 등 조선시대 궁중미술 연구의 새 영역을 개척한 논문들, 서평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저자의 예일대 박사학위 논문은 중국의 17세기 미술품 수집가이자 전기작가이기도 한 주량공(周亮工)이 남긴 기록을 바탕으로 명·청 전환기 중국회화사를 조명한 것. 이번 논문집에도 주량공이 쓴 ‘독화록(讀畵錄)’에 기록된 화가들의 그림 값과 당시 물가를 비교한 ‘주량공과 독화록의 17세기 화가들’이란 논문이 실려 있다.

- 문화일보 2009.4.3

경기도 장흥에 `천경자 미술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화가 천경자 화백(85)의 작품과 소장품을 전시할 '천경자 미술관'이 경기도 양주시 장흥문화예술특구에 들어선다.
2 일 미술계에 따르면 양주시는 장흥면 석현리 385의 16 일대 6506㎡에 '천경자 미술관'을 건립,이르면 내년 5월께 개관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전체 사업비 97억원 가운데 52억원을 확보하고 경기도에 설계심사를 요청했으며 심사가 통과되면 업체를 선정해 이달 말부터 공사를 시작할 방침이다. 미술관은 지하 1층,지상 2층,연면적 2838㎡ 규모로 천 화백의 작품 1200여점과 개인 소장품을 전시하는 전시실,카페테리아,사무실 등을 갖추게 된다. 전남 고흥 출신의 천 화백은 채색과 풍물로 '천경자풍(風)'이라는 독창적 예술세계를 일궈낸 20세기 한국의 대표적인 여류 화가다.

- 한국경제 2009.4.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