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5

변해가는 북한 풍경 1950-2008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임영균 큐레이터(중앙대 사진학과 교수)가 기획한 전시.
2008대구사진비엔날레 특별전으로 기획, 전시되었던 이번 전시는 2010년 미국 조지이스트만 국제사진박물관(George Eastman House International Museum) 에서 전시가 예정되어있다.
미국 라이프지의 전속 사진가인 마가렛 버그 화이트, 프랑스의 영상 감독 크리스 마커, 한국 작가 김희중 등 12명의 사진가들이 10년의 간격을 두고 북한의 사회모습과 서민들의 모습을 기록에 남겼다.
해방 후 1950년부터 2008년에 이르기까지의 북한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다. 1950년대 전쟁 중에 촬영한 마가렛 버그 화이트의 사진에서는 유교를 중시 여기는 전통적인 농경사회의 모습이 보인다.
군사분계선이 생기고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한 크리스 마커의 서예가 초상사진, 1970년대에 촬영한 김희중의 전원풍경을 담은 사진 등도 감상할 수 있다.
최근 2000년대 이후 촬영한 국내외 젊은 사진가들의 사진에서는, 공통적으로 시대의 흐름에도 변하지 않는 전통과 인간의 존엄성을 엿볼 수 있다. 서울아트센터 공평갤러리에서 4월 8일부터 5월 5일까지. 02)3210-0071

- 주간한국 2009.4.7

김성호 개인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작가는 우리 주변의 일상적 풍경을 소재로 한 야경과 새벽풍경을 회화적 화풍에 담아낸다.
빛에 대한 고감도의 미의식, 드라마틱한 해석과 선 굵은 대범한 구성, 활달한 듯하면서도 절제된 감각적인 필치는 작가만의 특징이다. 어둠과 밝음의 경계인 미명, 가로등과 같은 야간 조명, 버스 안에서 새어 나오는 빛, 콘트라스트 강한 조명 특히 역광 등의 다양한 빛의 상황이 작가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 수많은 스케치 작업과 수백 장의 사진을 거쳐 작가가 느끼고 경험했던 감성을 개성적인 구도와 각도, 대범한 화면처리를 통해 표현한다. 자연광과 인공광이 만나는 접점을 회화적인 기법과 요소들을 이용해 특정부분에 포커스를 맞추고 주변을 과감하게 면으로 처리하면서 도시가 지닌 느낌을 보다 긍정적이고 서정적으로 표현했다.
일상 가운데 우리가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도시의 야경, 안개나 비오는 날의 도로 풍경, 미명의 해경 등이 주로 화폭에 등장한다. 사실에 충실하면서도 추상성과 은유성이 짙은 화면을 만날 수 있다.
현대인의 메마른 감성을 채워주는 신비로움이 작가의 작품 가운데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실제 자연이나 도시의 풍경이 주는 감동, 그 이상의 감동을 느낄 수 있다. 선화랑에서 4월1일부터 4월 16일까지. 02)734-0458

- 주간한국 2009.4.7

[culture & events] 전시 Rama Lama Ding Dong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작가 박미나와 자동차 디자이너 잭슨홍이 만났을 때
회화작가 박미나와 자동차 디자이너 출신 잭슨홍의 공동작업 결과물을 전시한다. ‘Rama Lama Ding Dong’이란 제목은 1950년대 말 미국 로큰롤밴드 The Edsels의 노래제목이며, 이 노래를 히트시킨 밴드 이름은 1950년대 말 포드 자동차의 모델명인 ‘The Edsels’를 차용한 것이다. 이 모델은 독특한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당시 상업적으로는 실패했는데, 지금은 자동차 수집가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모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이 전시는 크게 세 파트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3차원 공간 작업이고, 두 번째는 ‘미나가 만든 잭슨작품’과 ‘잭슨이 만든 미나작품’이며, 세 번째는 전시 제목과 같은 ‘Rama Lama Ding Dong’이다. 3월 21일~5월 12일 서울 아뜰리에 에르메스. (02)3015-3248

- 주간조선 2009.4.6

충주 충렬사 '추련도' 문화재 지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충북도는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의 추련도(제300호)와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제301호)을 도 유형문화재로 지정 고시했다고 9일 밝혔다.
추련도는 임경업(1594-1646) 장군이 평상시 호신용으로 애용한 보도로 알려졌으며 '秋蓮刀'라는 이름은 칼 몸에 새겨진 시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 지조 있는 대장부를 상징한다.
신륵사 극락전 벽화 136점과 단청 150점은 19세기 초반 경북 문경 등을 중심으로 활약한 화승 신겸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합뉴스 2009.4.9

부산비엔날레 이두식 운영위원장 연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는 이두식 현 운영위원장을 2년 임기의 제6대 운영위원장으로 재선출했다고 9일 밝혔다.
조직위는 이 위원장이 국제적 네트워크 확대와 지역 미술 발전에 이바지하고 무엇보다도 지난해 부산비엔날레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재선출 배경을 밝혔다.
홍익대 교수인 이 위원장은 제17대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을 거쳐 2007년부터 부산비엔날레를 이끌고 있다.

-연합뉴스 2009.4.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