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4

[신간]미완의 작품들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미완의 작품들/이자벨 밀레 지음·신성림 옮김/304쪽·1만4000원·마음산책

미켈란젤로가 남긴 조각 가운데 절반가량이 미완성이다. 그가 남긴 미완성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조각이 노예상이다. 당초 열두 명의 노예를 조각하려던 미켈란젤로는 ‘죽어가는 노예’ 등 다섯 점만 미완성으로 남겼다. 이 노예상들은 미켈란젤로의 작품 제작과정을 잘 보여준다. 미켈란젤로는 조각을 할 때 모든 방향에서 하는 대신 앞에서 뒤쪽으로 작업을 진행했음을 알 수 있다. 저자는 “미완성 작품은 완성된 작품보다 제작과정의 비밀을 더 많이 드러낸다”고 말한다.

미켈란젤로의 미완성품은 그의 생애 내내 반복됐던 작품 주문 명령과 취소 명령, 의무와 빚, 계약과 속박의 역사를 반영하기도 한다. 교황 율리우스2세는 미켈란젤로를 로마로 불러들여 시스티나 성당의 둥근 천장화를 떠맡겼다가 4년 후 갑자기 중단시켰다. 1530년경 메디치가의 측근 바초 발로리를 위해 작업을 시작한 ‘아폴론’상은 발로리가 로마니아의 총독으로 임명되면서 중단해야 했다.

이 책은 미켈란젤로의 노예상부터 발자크의 소설 ‘인간 희극’,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 가우디가 설계한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등 미완성 작품 11점을 둘러싼 배경과 의미를 다뤘다.




◇ 건축의 거인들, 초대 받다/자예 애베이트, 마이클 톰셋 지음/김주연 엮음·김현정 옮김/200쪽·1만 원·나비장책

건축은 경험을 선택할 수 없는 예술적 대상이다. 한 지역에서 삶을 영위하는 사람은 그곳의 건축을 좋건 싫건 매일 겪고 보고 느낀다. 프리츠커상 제1회 수상자인 건축가 필립 존슨은 “문명은 그 문명을 대표한 건축물로 기억된다. 어떤 문명은 오직 건축물로만 기억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호텔체인 하이엇재단이 1979년 제정한 프리츠커상은 해마다 ‘건축을 통해 인류 문화에 기여하고 문명의 비전을 제시한’ 건축가에게 주어진다. 저자는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이 상을 받은 건축가들의 작업과 고민을 간결하게 정리했다. 루이스 바라간 같은 거장이 초기 시행착오를 거쳐 자기만의 스타일을 찾아가는 과정은 ‘마스터피스 만들기’의 어려움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김주연 홍익대 교수가 직접 찍은 현장답사 사진과 설명을 더해 이해를 도왔다. 건축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답사 여정의 길잡이로 삼을 만하다.

-동아일보 2009.5.16

제주도립미술관 6월 26일 개관 '박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00여 명 참여 개관 기념전 준비, '미술관 설치 운영 조례' 개정 등 한창

제주도립미술관이 오는 6월 26일 개관, 방문객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3월 미술전문가 7명으로 도립미술관 개관전시집행위원회를 구성, 미술관 CI자문, 전시장 연출, 야외조각품 설치, 장리석기념관 전시연출 등을 실시해 왔다고 15일 밝혔다.
우선 미술관 개관 기념전이 ‘환태평양의 눈’이란 주제로 4개 전시관에서 9월 30일까지 운영된다.
국제전 ‘숨비소리’, 국내전 ‘제주미술의 어제와 오늘’, 특별전 ‘세계 어린이미술제’와 제주도에 작품 110점을 기증한 장리석 화백 기념전 등이 기획돼, 차근차근 준비되고 있다.
이때 해외작가 10여 명을 비롯 국내외 작가 200여 명이 참가해 300여 점 작품을 선보인다.
지금까지 도립미술관은 도내작가 작품 162점을 포함 총 332점 작품을 수집했고 기획전시회의 기본구상도 완성했다.
또 미술문화 향수계층 저변 확대를 위한 관람료 무료정착, 탄력적 개관시간 운영, 제주지역 대표미술관으로서 기능 강화 등을 담은 ‘미술관 설치 및 운영조례’ 개정도 진행되고 있다.
또 홈페이지 구축과 미술관 상징성을 담은 CI 개발도 곧 완료된다.

-제주일보 2009.5.16


전시‥예술 속의 대가들, 트랜스, 문자-오래된 미래 등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예술 속의 대가들'전(30일까지,서울 청담동 더컬럼스 갤러리)

첼로,바이올린 등 현악기와 악기 케이스를 활용해 작품을 만들어 온 재미화가 변종곤씨의 개인전.백남준을 비롯해 마르셀 뒤샹,앤디 워홀,요셉 보이스 등 거장의 이름을 단 작품 16점이 출품됐다. (02)3442-6301


◆'트랜스(TRAnS)'전(7월19일까지,서울 소격동 아트선재센터)

설치작가 오인환씨가 2002년 대안공간인 사루비아다방 전시 이후 7년 만에 갖는 개인전.정체성을 화두로 다양한 사회문화적인 관심을 개념미술적으로 접근해 작업한 설치작품 '진짜 사나이' 프로젝트,'태극기 그리고 나''이름프로젝트-이반 파티''유실물 보관소' 등이 관람객을 맞는다. 입장료는 1500~3000원.(02)739-7067


◆'문자-오래된 미래'전(23일까지,서울 관훈동 아트싸이드)

분청사기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온 도예 작가 변승훈씨의 개인전이다. 도자와 설치 등이 혼재된 형태의 작업이지만 한자를 추상화한 문자 추상 작업이 처음 출품됐다. (02)725-1020


◆'넥스트 오브 재팬-일본현대미술전'(6월25일까지,서울 연지동 두산갤러리와 서교동 대안공간 루프)

1990년대 이후 일본 현대미술의 흐름을 탐색할 수 있는 기획전이다. 타구치 유키히로를 비롯해 이와이 마사루,하야카와 유타,콘도케이스케,이즈미 타로,마사다 타케시,미노와 아키코,타구치 카즈나,카네우지 테페이,아사카이 요코 등 20~30대 작가들의 설치 · 사진 · 회화 작품이 두 공간에 절반씩 나눠 전시됐다. (02)708-5015


◆'북유럽 디자인'전(24일까지,서울 평창동 토탈미술관)

지난해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던 '대한민국 공공디자인엑스포'의 메인 전시장인 북유럽 주제관 아트디렉터를 맡은 안애경씨가 기획한 전시.의자,식기 등 일상 속에 녹아있는 북유럽의 다양한 디자인 세계를 체험할 수 있다. (02)379-7037

-한국경제 2009.5.16

[신간] 건축의 거인들, 초대받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건축의 거인들, 초대받다(자예 애베이트·마이클 톰셋 지음, 김주연 엮음. 김현정 옮김, 나비장책 펴냄) 1979년 제정된 ‘건축의 노벨상’ 프리츠커상의 역대 수상자 중에서 필립 존슨, 루이스 바라간, 프랭크 게리, 렌조 피아노뿐만 아니라 국내 건축물도 디자인한 렘 쿨하스와 리처드 로저스, 유일한 여성 수상자 자하 하디드 등10명을 다뤘다. 건축에 대한 그들의 생각, 고민을 들여다보며 한국 건축계의 지향을 재고한다. 1만원.

2009.5.15 서울신문

[행사] 최창희 고려사학회 회장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최창희 고려사학회 회장은 16일 전북 익산시 신용동 원광대 60주년기념관 아트스페이스홀에서 ‘익산 백제 미륵사지의 재발견’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2009.5.15. 파이낸셜 뉴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