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2

<신간> '한국현대미술가 100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현대미술가 100인 = 한국미술평론가협회 엮음.

한국미술평론가협회가 1945년 이전 출생한 한국 근ㆍ현대작가 중 100명을 선정해 그들의 작품 세계와 주요 이력을 소개한 작가론 연구집.

오광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과 서성록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장, 윤난지 이화여대 교수, 미술평론가 김현숙ㆍ조은정씨 등이 작가 선정에 참여했으며 미술평론가협회 회원 34명이 필진으로 참여했다.

허백련, 이상범, 노수현, 변관식, 이응노, 장우성, 김기창, 천경자, 김환기, 유영국, 이중섭, 박수근, 오지호 등 화가와 백남준과 박현기 같은 비디오 아티스트, 김종영, 권진규, 최종태, 전뢰진 등 조각가까지 20세기에 활동한 작가들의 작가론이 수록됐다.
사문난적. 556쪽. 5만원.

▲오프 더 레코드 현대미술 = 정장진 지음.

문학과 미술 평론가로 활동하며 여행, 문화, 예술 콘텐츠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저자가 서양 현대미술에 얽힌 일화들을 통해 서양 현대미술을 소개한다.

마르셀 뒤샹의 '샘'에 소변을 보고 망치로 내려친 사람의 이야기와 빈센트 반 고흐의 형과 조카의 이름 역시 빈센트 반 고흐라는 이야기, 바실리 칸딘스키가 거꾸로 걸린 자신의 그림을 보고 추상화를 그리기 시작했다는 이야기 등 소소한 일화로부터 그림 감상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동녘. 340쪽. 1만6천원.

-2009.12.15 연합뉴스

19∼25일 2009 강원민족예술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강원지회(회장 최옥영)는 19∼25일 춘천어린이회관 B동에서 `불'을 주제로 공연과 전시가 한 공간에서 펼쳐지는 예술축제인 `2009 강원민족예술제'를 연다.

이미지와 뮤직, 텍스트룸 등 3개 공간에서 열리는 행사에는 불에 대한 입체영상 다큐멘터리와 예부룩앙상블.철가방프로젝트 등의 음악공연, 불의 몸짓을 그림자로 표현한 마임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선보인다.

-2009.12.15 연합뉴스

부천시 "옹기박물관 전시물 기증 받습니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도 부천시는 내년 8월 개관 예정인 옹기박물관에 전시할 물품을 무기한 기증받는다고 1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기증된 자료나 유물이 문화재적 가치가 높으면 학습용이나 전시용으로 활용하고 기증자에게 는 감사장 전달, 기증자 이름 표지 부착, 전시관 또는 박물관 주최 행사 무료 입장 등의 혜택을 준다.

기증 희망자는 마감 기한 없이 신청서와 전시물 설명서, 사진 등을 시 문화예술과를 방문 접수하거나 이메일(hksrok@korea.kr)로 보내면 된다.

부천 옹기박물관은 88억원이 투입돼 오정구 여월동 318 일대 3천여㎡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2천110여㎡ 규모로 이달 중 착공, 2011년 8월 완공될 예정이다.(☎ 032-625-3122)

-2009.12.15 연합뉴스

[문화소식] 석가탑 사리장엄구 조계종에 반환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석가탑 사리장엄구 조계종에 반환

조계종 총무원은 14일 지난 43년 동안 보존관리상 이유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돼 온 불국사 석가탑 사리장엄구(국보 제126호)를 17일 반환받는다고 밝혔다. 조계종은 17일 서울 조계사에서 반환을 알리는 고불식을 봉행하고 사리장엄구를 경내 불교중앙박물관에 옮겨 보관한다.

■ '한국의 문화상징' 심포지엄

한국학중앙연구원은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의 문화상징'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이어령 이화여대 석좌교수가 기조강연을 하고, 박일훈 국립국악원장과 최광식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발표한다.

- 2009. 12. 15 한국일보

고향집 지키는 어르신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강재훈 사진전 ‘부모은중’ 22일까지

사진기자로 다큐사진을 찍어온 강재훈씨가 16~22일 서울 견지동 나무갤러리에서 사진전 ‘부모은중’을 연다. 이 땅 곳곳의 농촌과 산촌 사람들의 해맑은 삶을 주로 찍어온 강씨는 이번 전시에서 외딴섬과 산골의 고향집을 지키고 사는 어르신들의 주름진 얼굴과 생활 모습 등을 렌즈에 담아 보여준다. 앞서 전시와 같은 제목을 단 작가의 사진집(가각본 펴냄)이 나온 바 있다. (02)2011-1997.

- 2009. 12. 15 한겨례신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