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2

전쟁기념관 올해부터 무료 관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쟁기념관이 올해부터 무료 관람을 실시한다고 3일 밝혔다. 전쟁기념관 관계자는 “6·25 전쟁 60주년을 맞는 올해부터 안보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전쟁기념관 내 상설 전시관에 대해 관람료를 받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쟁기념관은 지금까지 성인 3000원, 청소년 2000원, 어린이 1000원의 관람료를 받아왔다.

- 2010. 01. 04 중앙일보

한중 문화교류축제 8-11일 서울서 개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주중한국문화원과 주한중국문화원이 2007년부터 한중 양국간 문화교류 차원에서 열어온 '한중 연(緣) 문화축제'가 오는 8-11일 서울에서 열린다.

축제는 세종문화회관 미술관과 대극장에서 전통 탈, 짚공예, 전통자수 등 양국의 전통문화 전시와 경극, 칠고무 등 합동 공연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이 축제는 양국 문화원이 한중 수교 15주년을 기념해 2007년 베이징에서 처음 열어 2008년에도 베이징에서 개최됐으며 작년에는 열리지 않아 서울 행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8일 합동 공연에는 중국인 유학생, 복지 단체 아동 등 400여명도 초청될 예정이다.

-2010.01.04 연합뉴스

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에 최형순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북도립미술관(관장 이흥재) 학예연구실장에 최형순씨(46)가 임용 후보자로 선정됐다.
전북도청 인사위원회는 지난해 31일 우선 순위자 3명 중에 최씨를 적격자로 선정, 향후 신규 채용 절차를 걸쳐 임용자로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원도 정선 출생인 최씨는 강원대 미술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미술이론을 전공했다. 강원일보 기자, 경기도 모란미술관 큐레이터 등으로 활동했으며, 강원대, 추천교육대, 삼육대 강사로 활동했다. 1998년 '창조와 비평의 정신, 패러디'로'구상전 평론상'을 수상하면서 미술평론가로 데뷔, 현재 인문학 연구공간 수유+너머에 몸을 담고 있다.

- 2010. 01. 05 전북일보

가상과 현실의 경계는 어디… ‘제3회 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서울국제사진페스티벌’(SIPF)이 31일까지 서울 문정동 가든파이브에서 열린다. ‘현실과 가상의 교차’를 주제로 실제와 허구, 현실과 환영의 경계를 넘나드는 사진 작가 50여명의 작품 200여점을 소개한다. 전시는 합성 이미지로 가상화된 현실을 보여주는 ‘테라 이모션’과 디지털 이미지를 보여주는 ‘뉴월드 혹은 노월드’ 섹션으로 구성됐다.

프랑스 작가 알랭 델롬, 러시아의 올렉 도우, 미국의 매기 테일러, 독일의 베티나 호프만, 중국의 장 웨이, 한국의 김준 이정록 주도양 이상현 등이 참여하는 본전시 외에도 프랑스 알랭 뷔브렉스와 필립 하메트의 특별전, 김명옥 정창권 최경자 등이 출품한 ‘열정을 넘어서’ 연례기획전, 사진을 이용한 미디어아트전도 함께 열린다. 입장료 8000원(02-2269-2613).

- 2010. 01. 04 국민일보

민화속 음식 등 ‘밥상’ 모티브… 토포하우스 ‘상차리는 여자’ 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시장 벽면 가득 밥상 그림이 차려져 있다. 서울 관훈동 토포하우스(관장 오현금)가 새해 첫 전시로 여는 ‘상차리는 여자’ 전이다. 밥상을 주제로 작업하는 정경심과 임영숙의 작품, 콩테와 파스텔로 상을 그리는 이강욱의 그림, 푸드스타일리스트 오정미가 전통 민화 속 문자도에 그림들과 옛 음식들을 함께 배치해 찍은 사진 등이 출품됐다.

디자인 관련 회사의 최고경영자(CEO) 모임인 청담회 회원들이 민화 속에서 음식과 관련된 부분을 발췌해 모사한 작품도 걸렸다. 하얀 쌀밥에 반찬 두어 가지가 놓인 밥상 그림과 고색창연한 전통적인 상 위에 화사한 색채로 그린 작품들이 볼거리를 제공한다. 전시는 12일까지 열리고 7일에는 오정미의 푸드아트 강연도 마련된다(02-734-7555).

- 2010. 01. 04 국민일보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