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2

‘무등산 화가’ 박상섭씨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원로 서양화가 박상섭(사진)씨가 지난 16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75세.

광주 출신인 고인은 광주사범대학(광주교육대학교 전신)을 나온 뒤 이 지역 중·고등학교에서 미술교사로 재직하며, 왕성한 작품활동을 펼쳤다.

주로 무등산 풍경을 향토적인 색채로 표현, ‘무등산 화가’로 불렸다. 화려한 색채와 과감한 화면 분할로 무등산의 넉넉한 풍경을 담아냈다.

붉은 색과 흰 색을 병치시켜 무등산의 생명력과 설경을 한 폭에 담은 ‘무등의 정’(1993년작) 등의 작품을 남겼다.

또 눈 쌓인 초가, 포구의 풍경, 폐선 등 남도의 정겨운 풍경을 소재로 즐겨 다뤘다.

출어를 준비하는 어부와 어선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린 ‘출어전’(1977년작) 등의 작품에는 남도 어민의 고단한 삶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한때 비구상 작업에도 몰두, 작품 ‘력’(力)으로 1975년 전남도전 최고상을 받았다. 이 작품은 거대한 빙하가 녹아서 부서지는 듯한 에너지와 힘이 넘친다는 호평을 받았다.

어려운 후배들을 돕는 등 미술계 활동도 활발했다. 한국미술협회 초대 광주미술협회장을 역임했고, 비구상 미술그룹인 에뽀끄 창립 회원, 전우회, 목우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또 국전 입선, 프랑스 르 살롱전 입선, 광주시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등을 역임했다.

빈소는 조선대병원 장례식장 1분향소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8일 오전 8시, 장지는 담양 천주교묘원. 062-231-8901.

- 2010. 01. 18. 광주일보

[미술소식]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에 박기원씨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에 박기원씨
국립현대미술관의 '2010년 올해의 작가'에 설치작가 박기원(45)씨가 선정됐다. 박씨는 공간의 속성을 있는 그대로 수용한 설치 작업을 통해 공간의 새로운 면모를 느끼게 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4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인전을 열 예정이다.

■ 가나아트센터 '물아와 심수'전
동양화의 화법을 통해 현대 화가들의 작품을 해석한 '물아와 심수'전이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에서 31일까지 열린다. '기운생동(氣韻生動)' '골법용필(骨法用筆)' '응물상형(應物相形)'이라는 세 주제 아래 이두식 이정웅 박성민 윤병락씨 등 15명의 작품을 소개한다. (02)720-1020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독일 아리랑…'전
파독(派獨) 광부들의 이야기를 담은 '독일 아리랑, 45년에 묻다'전이 2월 1일까지 서울 창성동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열린다. 광부들이 캐내던 석탄에 금박을 입혀 만든 설치 작품 등이 관련 자료와 함께 전시된다. (02)6082-0517

■ '이탈리아 스타일'전 내달 20일까지
'이탈리아 스타일'전이 2월 20일까지 서울 순화동 한국국제교류재단 문화센터에서 열린다. 가구업체인 카르텔과 자노타, 조명 브랜드 아르테미데, 인테리어 소품 브랜드 알레시 등 이탈리아의 가구, 조명, 디자인 업체가 참여해 180여점을 선보인다. (02)2151-6514

- 2010. 01. 18. 한국일보

도박물관 서예유물 2점 보물 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숙종어필 칠언시 '제1630호'
서거정·기순 필적 '제1622호'

경기도박물관에서 소장·위탁 중인 희귀 서예유물 2점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됐다.

지정유물은 소장유물인 서거정·기순 필적(徐居正 · 祁順 筆蹟)이 보물 제1622호로, 위탁 보관 중인 전주이씨 백헌상공파 종중 소장유물인 숙종어필 칠언시(肅宗御筆七言詩)가 보물 제1630호로 지정됐다.

서거정·기순 필적은 1476년(성종 7) 1월말에 우리나라에 온 명나라 사신 기순과 사신일행을 맞이했던 서거정의 글씨가 함께 실려 있다.

서첩 앞쪽에는 기순이 40일쯤 머문 뒤 3월 11일 당시 통역을 맡았던 장유화에게 지어 써준 '오언장시(五言長詩)'가 실려 있다.

서첩 뒤쪽에는 당시 중국사신을 먼 곳까지 나가서 맞이하기 위한 임시관직인 원접사(遠接使)를 맡았던 좌참찬 서거정이 그해 6월3일에 역시 장유화에게 지어 써준 '증장원정서(贈張院正序)'가 실려 있는데 앞쪽은 탈락돼 있다.

조선 초기의 서예유물은 매우 희귀, 특히 이 서첩은 원형 그대로 남겨진 15세기 조선의 문인이자 명필인 서거정의 대표적인 필적이다.

뿐만 아니라 명나라 사신의 필적이 함께 실려 있어 양국의 교류를 살필 수 있는 귀중한 필적이다.
숙종어필 칠언시는 숙종이 인조 때 이경석(李景奭, 1595~1671)의 문집 '백헌집(白軒集)'을 살펴본 뒤 이경석 후손에게 내려준 어제어필의 칠언시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숙종어필 가운데 가장 신빙할 만한 예로서 채색꽃무늬를 찍은 어찰지를 사용한 이 어제어필은 자료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031-288-5355

- 인천일보 2010.01.18

부산박물관 "호랑이 유물 구경하세요"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부산박물관(관장 양맹준)은 2010 경인년(庚寅年)을 맞아 호랑이와 관련된 유물을 구경할 수 있는 '호랑이띠 전시회'를 19일부터 3월 1일까지 갖는다고 17일 밝혔다.

제2전시관 1층의 기획전시실 입구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우리 민족의 신앙과 설화, 예술, 생활 등 문화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는 호랑이의 상징체계를 살펴볼 수 있고, 십이지와 관련된 우리 고유의 풍습과 민속을 시각적 자료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는 나전베갯모와 자수병풍, 백자청화병, 호족반, 필통, 담배함, 동경 등의 각종 생활용품과 허리띠장식, 흉배 등의 복식 부속, 상여장식 및 십이지호석 탁본 등의 장례 관련 유물, 그림 등 23점의 유물이 전시된다.

부산박물관 성현주 학예연구사는 "조선 후기에 해당되는 유물들이 많고 삼한시대와 고려시대의 유물도 전시된다"면서 "특히 까치호랑이 그림 가운데에는 17세기말에서 18세기초까지 제작된 희귀한 유물도 포함돼 주목된다"고 말했다.

-2010.01.17 연합뉴스

<문화소식> UNC갤러리 비앙카 레글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오스트리아 출신 화가 비앙카 레글(30)의 개인전이 21일부터 사간동 UNC갤러리에서 열린다.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로, 이번 전시에서는 단색 배경 속에 물속에서 움직이는 여인의 모습을 표현한 수영장 시리즈를 선보인다.
전시는 내달 11일까지. ☎02-733-2798.

▲63빌딩 내 미술관인 63스카이아트는 '러브 앤 팝아트'전과 관련된 문화강좌를 2월 한 달간 개설한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러브 앤 팝아트' 전의 전시 작품을 감상한 뒤 작품 제작 과정을 응용해 개성적인 표현법을 영어로 학습하는 '스카이 키즈'ㆍ'스카이 칠드런' 프로그램과 성인을 대상으로 수채화와 유화를 지도하는 '정물수채화반'과 '정물유화반'이 개설된다. ☎02-789-5663, 789-5684.

▲문화예술위원회는 지난해 12월 15일 실시한 예술인 사랑나눔' 자선경매 수익금과 예술위 임직원들의 기부금 등 총 3억1천900여만원을 최근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전달했다.
예술인 사랑나눔 경매에서는 미술작가와 각계 인사들이 기증한 미술품 150점이 판매됐다.
전달된 금액은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생활이 어려운 예술인 중 수술이나 치료가 시급한 사람들에게 1인당 500만원 한도로 지원될 예정이다.


-2010.01.17 연합뉴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