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1

[삶과 추억] 정재훈 전 문화재관리국장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제2대 문화재관리국장을 지낸 정재훈(사진) 한국전통문화학교 석좌교수가 29일 자정께 간암 합병증으로 타계했다. 73세.

공직생활 대부분을 문화재 분야에 투신한 그는 우리나라 문화재 행정 50년 역사의 근간을 마련한 관료로 평가된다. 고인은 본지에 연재 중인 ‘문화유산 파이오니어-민족 정체성 찾기 50년’ 인터뷰 시리즈의 첫 회 인물로 소개됐다.
그 무렵엔 지난해 발병한 대장암을 극복하고 건강한 모습으로 마지막 인터뷰에 응했지만 암세포가 간으로 전이돼 석 달간 입원 치료를 받다 세상을 떠났다.

1938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57년 진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64년 단국대 상대를 졸업한 뒤 문화재관리국에 들어갔다. 경주사적관리사무소장으로서 70년대 경주관광개발계획 실무를 맡았고, 86년부터 93년까지 문화재관리국장을 역임했다.

관료로서만이 아니라 전통 조경의 연구자로도 한 획을 그었다. 경주 안압지를 발굴할 당시 조경 연구자가 없어 손수 ‘안압지의 조경학적 고찰’을 쓰면서 전통 조경 연구를 개척했다. 문화재관리국장 재직 당시에는 궁궐의 일본식 조경 잔재를 없애는 작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했다. 경복궁의 심장에 자리잡고 있던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하고 30경비단을 철수시키도록 추진한 것도 그였다. 보관문화훈장·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한국전통조경』 『소쇄원』 등이 있다. 유족은 부인과 2남 1녀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2호실. 발인은 다음달 1일 오전 6시. 02-2072-2033.

- 중앙일보 2011.8.31

이천으로 떠나는 도자기 여행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제25회 이천도자기축제(031-644-2942~5)가 ‘불의 여행’을 주제로 9월24일부터 한 달간 경기도 이천시 설봉공원 일대에서 펼쳐진다. 전시·판매 기획전에선 도자기를 포함해 식기·건축·합·잔 등을 전시하며, 온라인으로 ‘행운 구매행사’를 사전 신청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현장에서 도자기를 구매할 수 있다. 작가와 함께하는 대형 화분 만들기, 세시풍속 장난감 만들기 등 체험 행사도 열린다. 주중 오전 10시~오후 6시, 주말 및 공휴일 오전 9시~오후 7시 개장, 입장료는 무료.

- 한겨레 2011.8.31

해외문화홍보원 中 포털 관계자 초청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원장 서강수)은 중국 정부 포털 사이트 중국망과 3대 검색 포털의 하나인 소후(SOHU) 등 주요 포털 관계자 7개사 8명을 초청, 30일까지 한국의 뉴미디어 산업과 한류 현장을 체험하는 시간을 갖는다.

- 헤럴드 경제 2011.8.29

서울대미술관, ‘최고경영자를 위한 예술문화과정(ACP)’ 제6기 수강생 모집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대미술관이 9월 개강하는 ‘최고경영자를 위한 예술문화과정(ACP)’의 제6기 수강생을 모집한다. 사회 각계 리더를 대상으로 미술·디자인·건축 등 예술문화에 대한 강연 및 국내외 워크숍으로 프로그램을 진행, 예술과 경영의 접목을 모색한다. 02-880-9509.

- 중앙일보 2011.8.27

中 아이웨이웨이 작품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출품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011광주디자인비엔날레' 공동 감독이자 중국 당국에 구금됐던 아이웨이웨이(54)의 설치작품 '필드'가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주제전에 출품된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재단 측은 28일 "이번 전시는 중국 정부의 감시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그의 예술 세계를 지지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아이웨이웨이는 4월 베이징에서 탈세 등의 혐의로 체포된 뒤 3개월여 만에 풀려났지만 현재 정부의 허가 없이 베이징을 떠날 수 없고 언론과 인터뷰도 할 수 없는 등 행동에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선보이는 '필드'는 '전통'을 상징하는 청화백자 무늬와 '산업화'를 상징하는 기계적인 연결로 이뤄진 구조물로 중국의 시대적·사회적 상황을 재해석한 작품이다.

- 한국일보 2011.8.2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