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30

은평 역사한옥박물관 9일 첫 삽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은평구는 오는 9일 ‘은평역사한옥박물관(조감도) 건립공사 기공식’을 갖는다고 3일 밝혔다.

한옥박물관은 진관동 은평뉴타운 3-1지구의 4541㎡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2818㎡ 규모로 만들어지며 2014년 4월 완공된다. 박물관 건립에는 국·시비 70억원 등 118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실내에는 지역의 우수한 문화유산 및 은평뉴타운 발굴유물 전시실, 한옥 전시·체험실, 한옥의 이해를 돕기 위한 공방 등이 들어서고 야외에는 신라시대 기와가마터와 주민 편의시설을 만든다.

기공식에는 김우영 구청장을 비롯해 박원순 서울시장, 향토사학회 자문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 주민 등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구는 서울시와 SH공사 등과 박물관 건립부지 인근에 있는 은평뉴타운 단독주택 부지에 은평한옥마을 조성을 연내 추진한다. 은평한옥마을은 북한산을 배경으로 수려한 자연환경과 역사문화가 공존하는 친환경 한옥주거지다. 올해 토지분양을 실시해 2014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구청장은 “박물관이 완공되면 다양한 문화체험과 주민을 위한 쉼터가 만들어지고 북한산과 은평한옥마을, 인근의 천년사찰, 문화재 등과 연계한 문화관광인프라를 확충해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이라면서 “박물관은 향토문화를 보존하고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서울신문 2012.5.4

국립중앙박물관 중·근세관 일부 휴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중앙박물관은 8일부터 24일까지 중·근세관 일부를 휴실한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중·근세관의 조선 5실 전시 개선 공사에 따른 것으로, 공사 기간에 조선 4실 일부와 조선 5실을 휴실한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은 부처님오신날인 28일에는 개관하고 이튿날인 29일 휴관한다고 전했다.

- 연합뉴스 2012.05.03

서울대 미대, 뉴스레터 창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대는 최근 미술대학의 교직원, 학생, 동문의 근황을 전하는 뉴스레터 <서울미대소식>(2012.봄)을 창간하였다.

근대문명 일군 종이 매개로 동아시아 네트워크 꿈꾼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기 105년 중국 후한의 환관 채륜이 종이를 발명했다. 이후 중국에서 꽃피운 목판인쇄술은 대륙 전역에 불교를 실어 나르며, 동아시아 삼국을 하나로 묶어냈다. 이 종이가 서역에 전파되자 이곳에선 9∼15세기에 걸쳐 200만 권의 책이 만들어졌다. 유럽에 전파된 종이는 근대문명을 촉발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했다.

 그렇다면 우리 시대 종이란 무엇인가. 한·중·일·대만 동아시아 4국의 저명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맞댔다. 5∼21일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서 ‘페이퍼 로드, 지적상상(紙的想像)의 길’이란 제목의 전시를 연다. 안상수·하라켄야(일본)·뤼징런(중국) 등 각국 대표 그래픽·책·타이포그래피(글꼴) 디자이너 150여 명이 종이 작품 1000여 점을 내놓는다.

 개막식이 열리는 7일엔 코엑스 컨퍼런스홀에서 ‘한중일 및 동아시아 종이 문화 네트워크의 새로운 가능성’이라는 심포지엄도 열린다. 이어령·정병규·칸타이킁(중국)·스기우라 고헤이(일본)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입장료 일반 1만원. 02-3470-0058.

-중앙일보 2012.5.3

먼로 동상, 시카고 떠난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영화 ‘7년 만의 외출(Seven Year Itch, 1955)’의 여주인공 메릴린 먼로 동상이 선정성 논란에 굴복했다.

1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들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미국 시카고 번화가의 파이오니어 광장에 설치돼 ‘선정성’ 논란을 빚었던 8m 높이의 초대형 먼로 동상이 7일 철거된다.

먼로가 7년 만의 외출에서 뉴욕의 지하철 환기구 바람에 날리는 하얀 원피스 치맛자락을 두 손으로 잡는 포즈를 하고 있는 이 동상은 설치 당시부터 이슈가 됐다.

20세기 대중문화의 아이콘인 먼로의 동상 주변에는 수많은 관광객이 몰려들었다. 하지만 동시에 “성차별적이고 상업적인 전시물일 뿐 아니라 시카고 건축물 및 조경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난도 쏟아졌다.

- 국민일보 2012.5.3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